인터넷 강국 이면에 숨겨진 어둠의 그림자
- 2017년 인터넷 자살유해정보 신고대회(7.12~25) 결과 -
□ 중앙자살예방센터(센터장 홍창형)는 생명존중문화 확산을 위해「2017년 인터넷 자살유해정보 신고대회」를 7월 12일~25일 2주
간 개최했다.
○ 「2017년 인터넷 자살유해정보 신고대회」는 만 19세 이상의 일반 시민이라면 누구나, 온라인상 무분별하게 확산되는 자살유해정보를 차단하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 2017년 인터넷 자살유해정보 신고대회는 중앙자살예방센터(모니터링단 지켜줌인(人))와 경찰청(누리캅스)이 함께 했다.
□ 중앙자살예방센터는 온라인 상의 자살유해정보를 집중 모니터링하여 총 12,108건의 유해정보를 발견, 그 중 5,596건(46%)을 삭제
조치하였다.
○ 특히, 이번에 발견된 자살유해정보는 △기타 자살조장(6,245건, 51.6%) △자살동반자 모집(2,413건, 19.9%), △자살방법 안내
(1,667건, 13.8%), △독극물 등 자살도구 판매(1,573건, 13.0%) △자살 관련 사진․동영상 게재(210건, 1.7%)이며, 주로 △SNS(3,928건, 32.4%), △온라인 커뮤니티(3,911건, 32.3%), △포털사이트(2,717건, 22.4%) 등을 통해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SNS의 자살유해정보(3,928건)는 트위터가 압도적으로(3,577건, 91.1%), △자살동반자 모집(2,330건, 65.1%)에 대한 게시물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트위터의 자살유해정보는 △자살동반자 모집(2,330건), △기타 자살조장(780건), △독극물 등 자살도구 판매(399건), △자살방법
안내(76건), △자살 관련 사진․동영상 게재(24건)로 나타났으며, SNS 동반자살자 모집의 99.9%가 트위터를 통해서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앙자살예방센터에서는 위급하다 판단된 자살유해정보 총 14건을 경찰(112 신고)에 신고 조치했다.
○ 홍창형 중앙자살예방센터장은 “동반자살과 관련된 유해정보 신고 과정에 있어 경찰의 긴밀한 협조가 보다 필요한 상황이다.”
라고 강조했다.
□ 한편 자살유해정보 신고대회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한승배氏(52세)와 활동 참여 소감을 진솔하게 작성해준 민상은氏(24세)에
게는 자살예방의 날 기념식(9.8)에 즈음하여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여 할 예정이다.
○ “긴급! 속, 보입니다.” 이는 2017년 인터넷 자살유해정보 신고대회 수기공모 대상을 받을 민상은氏(24세)의 수기 공모 제목이다. 열여섯 나이에 아버지의 극단적인 선택을 마주한 민상은氏는 “자신과 같은 유가족이 생기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자살유
해정보 모니터링단 지켜줌인(人)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전했다. 그녀는 “SNS를 통해 은밀하게 동반자살을 모집하는 것을 보고 무서운 생각마저 들었다”며, “소셜미디어를 통해 간접적으로 자살신호를 보내는 이들을 빠르게 알아차리고 도움의 손길과 따듯한 한 마디를 건넬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 최근 창원지방법원 형사 4부는 부인과 함께 동반자살을 시도한 남편 이모(54세)씨에게 살인(인정된 죄명 촉탁살인) 혐의로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했다.
○ 촉탁․승낙에 의한 살인죄는 법정형이 징역 1년 이상 10년 이하로 남에게 촉탁 또는 승낙에 의한 살인이라 할지라도 징역형을 받을 수 있다.
□ 중앙자살예방센터는 국가자살예방 정책 수행기관으로 자살유해정보의 폐해를 막고, 온라인 상의 생명존중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해오고 있다.
○ 본 기관으로 접수된 자살유해정보는 심각성 및 위법성에 따라 경찰 수사 및 인터넷 포털업체의 삭제 및 차단 조치 협조가 요청된다.
○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자살예방센터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