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로고

정신건강 및 의료기관에 대한 전문적인 정보는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클릭

자살의 이해

Suicide(자살) = Sui(자신) + Cidium(죽인다).

  • 자살(Suicide)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개인의 자유의사에 따라 고의적으로 자기 자신의 생명을 끊는 모든 행위를 말합니다. 그 원인이 개인적이든 사회적이든, 당사자가 자유의사에 의하여 자신의 목숨을 끊는 행위를 말합니다.
  • 자살은 치명적인 결과를 내는 자살적 행위로 다양한 정도, ‘죽음의 의도와 동기를 인식하면서 자신에게 손상을 입히는 행위’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 (WHO report, 2004)

자살의 발생 요인

  • 심리적 원인
    •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개인이 무의식적으로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바라는’ 파괴욕구를 갖게 될 때, 이에 대한 죄책감 및 수치심을 동시에 경험하는 양가적 감정 상태가 뒤따른다고 했습니다. 이러한 양가적 감정 상태에서 파괴욕구를 스스로에게 돌리게 되는 것을 자기-파괴적인 자살로 설명하였습니다. 한편으로는 파괴욕구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 대한 공격성이나 분노를 자기에게로 돌릴 때 자기-파괴적인 자살 및 자해 행동을 보일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 사회적 원인
    • 에밀 뒤르켐(Emile Durekeim)은 『자살론』에서 자살의 원인을 사회에서 찾으려고 했으며, 통합과 규제의 유무에 따라 자살의 유형을 크게 4가지로 나누었는데, 이타적 자살과 숙명적 자살, 이기적 자살과 아노미적 자살로 설명하였습니다.
  • 생물학적 원인
    • 자살자의 약 90%가 정신과적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자살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세로토닌 활성 감소 또는 세로토닌계의 기능부전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세로토닌의 활성 감소와 기능부전은 충동성 및 공격성 증가와도 관련이 깊습니다.
  • 스트레스 취약성 원인
    • 만(Mann)은 자살행동의 스트레스 취약성 모델을 제시하였습니다. 자살의 생물학적 또는 유전적 취약성을 가진 사람이 생활사건 또는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졌을 때 자살이 발생한다고 보았습니다. 이 이론에서 비관과 절망, 공격과 충동성이 자살의 주요 취약성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취약성은 세로토닌과 콜레스테롤 등의 생물학적 요인들과 관련이 깊습니다.

자살의 경고신호

자살 경고신호란?
  • 자살사망자가 자살에 대해 생각하고 있거나 자살할 의도가 있음을 드러내는 징후를 의미하는 것으로 언어적·행동적·정서적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2015년 심리부검 대상자 중 이전에 경고신호를 나타낸 적이 있던 경우가 전체의 93.4%로 대부분의 대상자가 사망 이전에 경고신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언어
  • 자살이나 살인, 죽음에 대한 말을 자주 한다.
  • 신체적 불편함을 호소한다.
  • 자기비하적인 말을 한다.
  • 자살하는 방법에 대해 질문한다.
  • 사후세계를 동경하는 말을 한다.
  • 자살한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꺼낸다.
  • 편지, 수양록, 노트 등에 죽음과 관련된 내용을 적는다.
행동
  • 수면상태의 변화
    1. 평소보다 너무 많이 자거나 너무 적게 잔다. 잠들기 어려워하거나 잠이 들고 난 후에도 자주 뒤척이고 일찍 잠에서 깬다.
  • 식사상태의 변화
    1. 평소보다 덜 먹거나 더 많이 먹는다. 다이어트를 하거나 신체적 질환이 있는 것도 아닌데 체중이 감소하거나 증가한다.
  • 주변을 정리한다.
  • 자신의 자살에 대한 계획을 세운다.
  • 평소와 다른 기괴하거나 비일상적인 행동: 위험하고 무모한 방식의 운전 등을 한다.
  • 집중력 저하 및 사소한 일에 대한 결정의 어려움: 이로 인한 수행 저하가 발생한다.
  • 외모관리에 대해 무관심하다.
  • 자해행동이나 물질남용을 보인다.
  • 죽음과 관련된 음악, 시, 영화 등에 과도하게 몰입한다.
  • 어긋났던 인간관계를 갑자기 개선하려고 노력하거나(예전에 잘못했던 일에 대해 용서를 구하는 등) 신변정리를 한다.
  • 평소 소중히 여기던 물건을 다른 사람에게 준다.
정서
  • 감정상태의 변화
    1. 죄책감, 수치감, 외로움, 평소보다 화를 잘 내거나 짜증을 낸다. 멍한 모습을 보인다. 절망감, 무기력감, 스스로를 무가치하게 여긴다.
  • 무기력, 대인기피, 흥미상실
    1. 평소에 기쁨을 느끼던 활동을 더이상 즐기지 않거나 타인과의 관계를 피한다.

참고자료: 『2015년 심리부검 결과보고』-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