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보기
2021년 자살사망자 1만 3,352명, 지난해 대비 소폭 증가
관리자 | 2022-10-20

2021년 자살사망자 1만 3,352지난해 대비 소폭 증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우울감 증가 등이 원인으로 추정 -

 

자살사망자 수는 2021년 1만 3,352명으로 지난해 대비 157(1.2%) 증가

자살률(인구 10만 명 당 자살자 수)은 2021년 26.0명으로 지난해 대비 0.3(1.2%) 증가

청년·노인 등 정신건강 취약계층 및 자살 고위험군의 적극적 발굴과 지원 정책으로 자살률 감소를 위해 노력할 계획

 

보건복지부는 2021년 자살사망자 수가 지난해 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며앞으로 청년·노인 등 정신건강 취약계층과 자살시도자 등 고위험군을 적극 발굴 및 지원하여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자살 사망자 수 통계>

 

통계청이 발표(’22.9.27)한 2021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21년 자살사망자는 1만 3,352명으로 2020년보다 157명 증가(1.2%)하였으며,

자살사망률(인구 10만 명당 명이하 자살률)은 26.0명으로 지난해 대비 1.2% 증가(’20년 25.7)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의적 자해(자살등을 포함매년 9월경 전년도 통계 발표(통계청)

성별로 보면남성과 여성의 자살률이 모두 증가하였다.

 

 

* (남성) (’20자살사망자 9,093자살률 35.5명 → (’21자살사망자9,193자살률 35.9

(여성) (’20자살사망자 4,102자살률 15.9명 → (’21자살사망자 4,159자살률 16.2

연령대별로 살펴보면지난해 대비 자살률은 10(10.1%), 20(8.5%) 및 70(7.7%) 순으로 증가하였고, 60(-5.7%), 40(-3.4%), 80세 이상(-2.2%) 등에서 감소하였다.

 

자살률은 80세 이상(61.3)이 가장 높았고뒤이어 70(41.8), 50(30.1), 60(28.4순으로 나타났다.

* (연령대별 자살률) 80세 이상(61.3) - 70(41.8) - 50(30.1) - 60(28.4) - 40(28.2) - 30(27.3) - 20(23.5) - 10(7.1)

 

자살은 사회 구조적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므로 자살률 증가의 원인을 어느 하나로 설명하긴 어려우나,

지난해 자살률 증가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우울감 및 자살생각률 증가청소년ㆍ청년층(10, 20자살률 증가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22.6. 보건복지부) >

우울위험군 : (’19) 3.2% → (’21.6.) 18.1% → (’22.6.) 16.9% (5배 증가)

자살생각률 : (’19) 4.6% → (’21.6.) 12.4% → (’22.6.) 12.7% (3배 증가)

 

우울증 진료환자 통계(’22.6. 심평원) >

’21년 우울증 진료환자는 933,481명으로 지난해(848,430)대비 10.0% 상승연령대별로는 10, 20, 30대 순으로 증가율 높음

 

또한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제·사회적 영향이 본격화되는 향후 2~3년간 급격히 자살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자살예방정책 추진 현황 및 계획>

정부는 코로나19에 따른 정신건강 악화와 자살률 증가위험에 대비하여 종교계 등 민간과 함께 하는 생명존중캠페인자살시도자·유족 등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지원강화 등을 통해 자살 예방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수행기관: (’17) 42개 → (’19) 63개 → (’21) 77개 → (’22) 79

**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 지원사업: ('21) 3개 시도→ ('22) 9개 시도

 

또한 보건복지부는 지난 8월 자살예방법 개정 및 시행으로경찰·소방이 당사자 동의 이전에 자살예방센터로 자살시도자·유족 등 정보를 연계할 수 있도록 하여 자살 고위험군지원을 확대하고 강화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자살시도자의 자살위험은 일반인보다 20~30배 이상 높고(자살실태조사, 2018), 자살 유족의 우울장애 발병위험은 일반인 대비 18배 이상자살위험은 8~9배 높음(전홍진, 2018)

 

보건복지부는 향후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2023~2027) 수립을 통해 5년간 추진해 나갈 자살예방 정책 방향을 제시하며 범국민 생명존중문화 확산자살 고위험군 선제적 발굴·개입 및 자살 예방 전달체계 확대·개편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곽숙영 정신건강정책관은 그간 감소추세였던 자살률이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정부는 코로나19 재유행이 안정화됨에 따라 국민의 정신 건강을 보다 면밀히 살펴 코로나 이전의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자살률 감소를 위해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선제적·적극적 개입 노력 등을 진행하겠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자살예방은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을 더하는 것에서 시작되므로 주위에 힘들어하는 사람이 있다면 전문적인 치료 또는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국민 모두가 따뜻한 관심을 기울여 줄 것을 부탁드린다라고 당부하였다.

 

<붙임> 1. 자살 사망자수 관련 통계

2. 자살보도 권고기준 3.0

 

 

 

 

*출처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

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73035&SEARCHKEY=TITLE&SEARCHVALUE=%EC%9E%90%EC%82%B4

게시판 보기
이전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국립정신건강센터 생명존중문화 확산 및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2022-10-20
다음글 보건복지부 이태원 사고수습본부 구성, 부상자와 유가족 대상 의료심리장례지원에 총력 대응2023-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