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보기
민관협력으로 응급입원 자살시도자 치료비 지원 확대 나선다
관리자 | 2020-07-06


민관협력으로 응급입원 자살시도자 치료비 지원 확대 나선다


'코로나19 등 경제적 위기 고려한 자살시도자 긴급 의료비 지원 확대'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생명사랑 위기대응센터에 총 5억 원 기탁...자살시도자 회복 도와'

 

 

□ 중앙자살예방센터(센터장 백종우)는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이사장 이종서)으로부터 생명사랑 위기대응센터 자살시도자 긴급 의료비 지원금 5억 원을 기탁 받았다고 6일 밝혔다.

 

□ 생명사랑 위기대응센터는 전국의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정서적 안정을 지원하고 자살 재시도 위험을 낮추기 위해 2013년부터 보건복지부와 중앙자살예방센터가 전국 65개 병원과의 협력으로 시행하고 있는 국가 자살예방 사업이다.

 

 ○ 생명사랑 위기대응센터는 병원 내 응급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사례관리팀이 유기적으로 연계해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에게 응급치료와 상담 및 심리치료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효과성이 높은 프로그램으로 평가받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 또한,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은 2016년부터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치료를 지속할 수 없는 자살시도자*를 대상으로 긴급 의료비를 지속 지원하고 있다.

 

 * 의료급여 1종․2종 수급권자, 자살 재시도자, 자살 유족, 경제적 위기에 있는 대상자(3개월 내 실직자, 개인회생·파산한 경우) 중 사례관리 서비스에 동의한 경우 최대 100만 원 지원

○ 특히, 올해는 코로나19 등 경제적 위기 상황을 반영하여, 긴급 의료비 지원금을 기존 4억 원에서 5억 원으로 1억 원 증액했다.

 

○ 최근 긴급 의료비를 지원받은 한 40대 여성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여전히 힘든 상황이지만,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에 큰 힘을 얻었다”며,  “앞으로 꾸준히 상담을 받고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백종우 중앙자살예방센터장은 “올해 자살시도로 응급실을 내원한 인원은 전년보다 감소하는 추세이나 의료비 지원자가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은 코로나19와 같은 위기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며,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의 의료비 지원이 자살시도자가 위기의 순간에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 한편, 중앙자살예방센터는 국가 자살예방 대책의 수행기관으로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문화조성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센터 사업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자살예방센터 홈페이지(www.spckore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중앙자살예방센터 백종우 센터장(좌),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송기정 상임이사(우)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ㆍ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게시판 보기
이전글 중앙자살예방센터-인터넷신문위원회, 자살예방 위한 업무협약 체결2020-07-01
다음글 온라인 쇼핑 기업들도 생명사랑에 동참한다!2020-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