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명존중 협력체계 구축 업무협약 체결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명존중사업 및 위기사건 사후대응을 위한 체계구축 및 지원 -

왼쪽부터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김현미 센터장,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황태연 이사장
□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사장 황태연, 이하 재단)은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센터장 김현미)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명존중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11일 체결했다고 오늘 밝혔다.
□ 재단과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는 이번 협약을 통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와 종사자의 생명존중 활동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을 약속했다.
○ 주요협약 내용은 △생명존중 인식개선 공동협력방안 마련 △종사자 대상 생명존중 및 사후대응 교육 운영 △자살사건 발생 시 사후대응체계* 구축 및 독거노인 자살 대책 마련을 위한 심리부검체계 운영 △기관 상호 간 정보교류 및 자원 활용 등이다.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일상생활 영위가 어려운 취약노인에게 적절한 돌봄서비스를 제공해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 및 노인의 기능․건강 유지 및 악화 예방 사업(중앙운영기관: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 사후대응체계: 조직 내 충격적인 사건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통해 2차 피해를 예방하고 조직과 개인의 기능 정상화를 돕기 위한 재단의 위기개입 시스템
○ 재단과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는 전국의 646개소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 및 16개 광역지원기관과 함께 생명존중 활동과 효과적 사후대응체계 구축 운영을 위해 지속 협력할 예정이다.
□ 황태연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이사장은 “우리나라는 60대 이상 고령 인구의 자살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고령화 사회 홀로 사는 취약 노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돌봄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 또한, 이러한 상황 가운데 “홀몸 노인의 생명존중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양 기관이 뜻을 모았다는데 큰 의미가 있으며, 협력을 통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명존중 협력체계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 김현미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장은 “이번 업무협약으로 노인맞춤 돌봄서비스 이용자와 종사자들의 생명존중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및 위기대응 체계 마련을 통해 자살예방 및 위기대응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이 구축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생명존중 문화 확산을 위해 지속적인 상호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 한편,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2021년부터 보건복지부 주도로 중앙자살예방센터와 중앙심리부검센터를 통합해 설립된 국가 자살예방정책 수행기관이다.
○ 생명존중 문화조성 및 자살예방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조직 내 자살 사건 사후대응을 위한 현장개입 서비스와 위기대응 헬프라인 T. 1899-4567을 운영하고 있다.
○ 자세한 내용은 재단 누리집(www.kfsp.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중앙노인돌봄지원기관)는 취약노인 보호 및 자립 지원,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 취약노인의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종사자의 안전관리와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소진예방교육 및 심리상담 치료비 지원, 안전관리 실무 매뉴얼 배포, 힐링프로그램 등을 지원하고 있다.

왼쪽부터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정유리 대리/장서영 부장/김현미 센터장,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황태연 이사장/이구상 본부장/이지현 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