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형설명: 황금다이아몬드 모형을 통한 지역의 자살사망 위험지표는 [그림 1]과 같이 표기, 위험지표는 ‘2019년 다른 지역과 비교’와 ‘최근 5년간 지역 추세’에 따라 위험성 크기를 1~5로 구분
[그림 1] 황금다이아몬드 모형
[그림 2] 황금다이아몬드 모형 적용 예
활용예: 위험성의 크기(1~5)로 다른 지역과의 비교나 증가 추세를 파악하여 자살예방 대책 수립 및 실행 우선순위 지표로 활용
[표 1] 황금다이아몬드 모형 위험지표 변화 예시
위험성 크기 | 2015~2019년 | 2016~2020년 |
---|---|---|
5 |
20대 자살률 60대 자살률 농약 음독 자살률 |
60대 자살률 농약 음독 자살률 가스 중독 자살률 |
4 |
여자 자살률 30대 자살률 |
여자 자살률 20대 자살률 30대 자살률 |
3 |
남자 자살률 가스 중독 자살률 |
남자 자살률 |
2 |
목맴 자살률 추락 자살률 70~80세 이상 자살률 |
목맴 자살률 추락 자살률 |
1 | 40~50대 자살률 |
40~50대 자살률 70~80세 이상 자살률 |
위험도 증가 | 가스 중독 자살률 |
---|---|
변동 없음 |
30-50대 자살률 60대 자살률 목맴 자살률 추락 자살률 농약 음독 자살률 |
위험도 감소 |
20대 자살률 70~80세 이상 자살률 |
자료 설명: 수조사는 읍·면·동별 자살사망자의 발견지 주소를 상세 분석하여 ① 자살사망 상위 읍·면·동 ② 자살사망 다발지 ③ 요인별 자살 다발 읍·면·동을 제시
활용예: 지역에서 요주의 자살 다발 읍·면·동과 상세 장소를 파악하여 고위험 지역에 대해 관리 및 개입하고, 요인별 특성을 파악하여 지역 맞춤형 자살예방 전략을 수립하는 데 반영
[그림 3] 지리적·사회환경적 특성(자살장소 표기는 대외비)
[표 2] 자살 다발지 특성 분석 사례
읍·면·동 | 지역의 현황 | 자살사망 특성 |
---|---|---|
A동 | ○○산 인접 지역으로 산간 지역이 많아 의료 접근성이 떨어지며, 응급상황에 신속한 위기 개입 어려움 |
- ○○산 자살 다발 구간이며, 투신 비율이 높음 |
B동 | 숙박업소와 음식집 밀집 지역 | - 최근 5년간 숙박업소와 가스중독 자살사망자 수 증가 |
C동 | 도시개발 가속화,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비율이 높음, 아파트 단지, 연립주택이 많은 주거 지역 |
- 20~50대 자살사망자 수 많이 차지 - 주거 지역에서 많이 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