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위험환경 개선을 위한 자살수단 차단사업 우수사업 발굴 및 공유
- 자살수단 차단사업 우수사업 시상 및 발표, 사업 간담회 개최 -

□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사장 황태연, 이하 재단)은 12월 4일 재단 12층 강의실에서 2024년 자살수단 차단사업 하반기 간담회 및 우수사업 시상을 진행하였다.
□ 보건복지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자살위해물건 등을 지역별 빈도·특수성에 맞춰 관리하기 위해 13개 광역(시·도) 자살예방센터를 선정하여 2024년 자살수단 차단사업을 추진하였다.
□ 본 사업은 자살수단으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거나 가까운 장래에 자살수단으로 사용될 가능성을 차단하여 자살위험환경을 개선*하고자 2018년부터 시작**되었다.
* 자살수단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것은 자살예방을 위한 보편적이고 중요한 전략 중 하나로, 충동적인 자살의 경우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남(WHO, 2014; 2021)
** (’18~‘23년) “일산화탄소 중독 자살예방 지원사업” → (’24년) 지역별 맞춤형 지원을 위해 “자살수단 차단사업”으로 확대·강화
□ 이번 행사에서는 지난 11월 공모를 통해 발굴한 우수사업 시상 및 발표를 통해 우수사업을 전파하고, 담당자 간담회를 개최하여 향후 자살수단 차단사업 운영 방향을 논의하였다.
○ 공모는 지역별·수단별 특화된 자살수단 차단사업 기획을 촉진하고 양질의 사업이 확산될 수 있도록, 2024년 올해 처음 실시되었다.
□ 우수사업으로는 인천광역시자살예방센터, 제주시정신건강복지센터가 선정되어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대구광역자살예방센터 외 3곳은 재단 이사장상이 수여되었다.
○ 수상작은 자살수단 사업 매뉴얼에 수록하여 자살 위험환경 개선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도록 17개 시·도에 배포할 예정이다.
□ 재단 황태연 이사장은 “이번 공모를 통해 우수하다고 평가된 사업을 살펴보면 자살위험환경은 민·관이 함께해야 적극 개선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자살위해물건의 온라인 유통·판매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구매 시 별도 안내창을 통해 위험성 및 도움기관 정보를 고지할 수 있도록 전자상거래 기업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